콘텐츠
조사설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조사설계 소개입니다.
2차웨이브
1차웨이브
2차웨이브
조사표 설계
- 설계 방향
- 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이동 과정 및 관련 제반 요인 측정하며, 1차웨이브 조사표와 동일한 목적과 주제를 갖도록 설계
- 장애인 고용정책 및 서비스의 수요예측과 성과측정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
- 고용과 관련된 폭넓은 요인을 도출할 수 있도록 설계
- 고용의 요인분석 및 성과측정을 위한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며, 고용과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
- 구성과 체계는 중요도와 시급성을 반영하여 설계
-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등 타 조사와의 결과 비교, 전체 인구와의 비교, 제외국 비교를 통해 장애인고용의 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설계
- 설계 과정
- 문헌연구 및 국내외 주요 조사 조사내용 검토
- 전문가 자문 및 수요자 의견 수렴
- TAPI 조사표 개발 및 지침서 작성
- 시범조사 실시
- TAPI 조사표 개발
- 면접원이 응답자를 방문한 후,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설문에 따라 응답자에게 질문하고 응답자가 응답한 내용을 서버에 전송하는 조사방식
- 면접 현장에서의 직접 검증을 통한 데이터 질 향상
- 조사과정을 자동화, 단순화하여 전반적인 조사 기간의 단축
- 조사원의 부담 경감
- 비용의 절감
- 청각장애인용 수화통역 동영상 탑재
- 경제활동과 관련된 주요 문항에 대해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통역동영상을 제작하여 TAPI 시스템에 탑재
조사표 체계 및 내용
- 총 10개의 영역으로 구성
<조사표>
조사표 체계 및 내용 영역 주요 조사항목 A. 패널 기본 정보 - 인적 특성: 성별, 연령, 혼인상태, 교육수준 등
- 장애 특성: 장애유형/등급, 중복장애 여부, 장애발생 및 원인, 장애상태 및 치료 등
- 장애유형별 세부 특성 - 지체장애: 장애의 주된 형태, 장애 부위,
보장구 등
- 뇌병변장애: 장애의 주된 진단명, 보장구 등
- 시각장애: 책 읽기 가능 정도, 점자해독 가능 여부 등
- 청각/언어장애: 대화 가능 정도, 의사소통방법 등
- 지적/자폐성장애: 의사소통 가능 여부, 시간/장소/주위 사람 인지 정도 등
- 신체내부장애: 투석 여부, 이식 여부 등
B. 경제활동상태 판별 - 경제활동상태 판별: 취업 여부, 구직 여부, 취업 가능 여부 등
- 취업자: 종사상 지위, 부업 여부, 평소/지난 주 일한 시간, 추가취업 희망 여부 등
- 미취업자: 일자리 희망 여부/사유, 비구직 사유, 일자리 비희망 사유 등
- 최근 1년 월별 경제활동상태
C-a. 임금근로자 - 일자리 기본 정보: 사업내용, 업무내용, 사용장비 및 도구 등
- 취업 과정: 근무기간, 선택 사유, 취업 소요기간, 취업 경로, 취업 도움자, 도움 요소 등
- 일자리 특성: 일자리 종류, 규모, 일자리 특성 등
- 근로조건 및 실태: 근로형태(비정규직 등), 근로시간, 임금 및 복리후생 등
- 업무특성: 업무시작시기, 필요한 능력, 업무에 대한 인식, 전반적 업무 만족도 등
- 근로환경: 안전정도, 산재 경험, 편의시설 설치, 노동조합 유무/가입 여부 등
- 직장생활 및 이직: 일자리 차별 경험, 근무 시 애로사항, 이직의사 및 준비 등
- 일자리 만족
- 부업현황: 부업의 사업내용, 업무내용, 종사상 지위, 근무시작시기, 임금수준 등
C-b. 비임금근로자 - 일자리 기본 정보: 사업내용, 업무내용, 사용장비 및 도구 등
- 창업(취업) 과정: 근무기간, 일하게 된 동기, 창업 소요기간, 초기투자비용, 창업 어려움
- 일자리 특성: 사업체 종류, 무급가족종사자의 사업주, 사업자 등록, 주된 장소, 규모 등
- 근로실태: 근로시간, 매출액/소득 등
- 업무특성: 업무시작시기, 필요한 능력, 업무에 대한 인식, 전반적 업무 만족도 등
- 근로환경: 안전정도, 산재 경험, 산재보험 가입, 편의시설 설치 등
- 사업체 운영 및 애로사항: 사업체 운영 평가, 근무 시 애로사항, 이직의사 및 준비 등
- 일자리 만족
- 부업현황: 부업의 사업내용, 업무내용, 종사상 지위, 근무시작시기, 임금수준 등
C-c. 미취업자 - 취업 경험: 취업 경험 유무/횟수, 마지막 일자리 정보(사업내용, 업무내용, 종사상 지위, 근무시작시기, 사업체 규모, 근무일수 및 시간, 임금수준, 퇴직사유, 장애 영향 등)
- 향후 취업 희망: 취업 희망 여부, 희망 일자리 정보(종사상 지위, 사업내용, 업무내용, 사업체 규모, 근무시간제, 일자리 종류, 최소 임금(소득) 수준, 취(창)업 희망 시기 등)
- 구직활동 경험: 구직활동 경험 유무, 구직활동 기간/시작시기/투입시간, 구직활동 횟수, 구직실패 경험, 구직활동 시 애로사항, 장애 영향 등
D. 취업을 위한 노력과 지원 - 취업 관련 활동 경험: 최근 3년 취업 및 취업 유지 관련 활동 경험 및 성과, 공공 취업알선기관 이용경험 및 내용, 직업교육훈련 이용경험 및 내용 등
- 취업 관련 필요한 지원사항: 향후 취업을 위해 필요한 지원사항 및 시급한 정도, 희망하는 직업교육훈련 종류, 희망하는 취업알선기관 등
- 일자리에서 필요한 지원사항: 향후 일자리에서 근무 시 장애로 인해 필요한 지원사항 및 현재 취업자의 활용 여부, 타인의 도움 필요 시간 및 외부인 활용 의사, 필요한 작업보조기기 및 편의시설 등
- 직업생활 시 장애로 인해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 및 부담정도
E. 직업적 능력 - 근로능력: 일자리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 수준, 주관적 근로가능 정도 등
- 경력: 일자리에서 일한 총 기간, 가장 오래한 직무를 수행한 기간 등
- 자격증: 자격증 보유 여부, 자격증 명, 취득시기, 종류, 활용분야, 취업 도움정도 등
- 학력: 고등학교 종류, 대학/대학원 전공계열, 대학/대학원 소재지 등
- 인적 네트워크: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인의 수 등
- 대인관계 유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정도 등
F. 취업 태도 및 환경 - 취업에 대한 생각: 자기효능감, 좋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 취업하지 않으려는 일자리 등
- 가족의 지지: 가족의 지지, 부모에 대한 정보(생존 여부, 동거 여부, 학력, 일자리 등), 14세 무렵 가구의 경제적 상황 등
- 심리 환경: 자아존중감, 장애수용도
- 정책 환경: 장애인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도움/신뢰정도, 장애인 고용증진의 주체 등
G. 일상생활과 삶의 질 - 전반적 건강상태 및 생활습관: 현재/작년 대비 건강상태, 만성질병, 운동, 수면, 식사, 흡연, 음주 등
- 정신 건강: 스트레스 정도, 우울 경험, 행복 정도 등
- 일상생활 도움: 타인의 도움 필요 여부/도움제공자 유무/도움제공자
- 일과/여가/사회참여: 평소 주로 하는 활동/여가, 사회참여 정도(종류, 경험 여부), 이동수단 및 애로사항 등
- 차별경험 및 만족: 차별경험, 일상생활 만족,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등
H. 가구 일반사항 - 가구 기본 정보: 가구원 수, 가구원 기본 정보, 가구주 등
- 소득/소비: 패널 및 가구주 근로소득, 가구 근로소득 및 근로이외 소득, 월 평균 생활비(식비, 교육비, 주거비 등)
- 경제생활: 경제생활의 어려움, 자산/부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내용 등
- 거주환경: 주거형태, 소유형태, 보증금 및 월세 등
- 노후준비: 노후에 염려되는 것, 경제적 노후준비 여부/정도, 노후준비 방법 등
표본설계
- 모집단
- 목표 모집단: 2016년 5월 15일 기준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며, 15개 법정 장애유형 중 하나 이상의 장애를 갖고 있는 만 15세~64세의 등록장애인
- 표본추출틀: 2015년 12월 31일 기준 보건복지부의 등록장애인 명부
- 표본설계 방법
- 추출단위: 장애인 개인
- 표본추출방법: 층화추출(층화변수: 읍면동 수, 장애유형, 장애등급, 연령)
- 집락 및 층화
<읍면동 표본추출을 위한 모집단 층화>
(단위 : 개)
읍면동 표본추출을 위한 모집단 층화 지역 읍, 면/동수 지역 읍, 면/동수 표본층 3,391 강원 187 서울 398 충북 150 부산 199 충남 204 대구 140 전북 227 인천 148 전남 290 광주 94 경북 327 광주 94 경북 327 대전 78 경남 302 울산 55 제주 41 세종 13 전수층 327 경기 538 전국 3,442 - 표본크기 결정 및 표본배분
<층별 표본크기>
(단위 : 명, %)
층별 표본크기 연령 15 ~ 29세 30 ~ 39세 40 ~ 49세 50 ~ 64세 총합계 장애유형·정도 (구성비) 지체 중증 15 37 65 153 270 (6.1) 경증 45 473 751 1,171 2,440 (55.5) 지체외
신체외부중증 15 15 20 40 90 (2.0) 경증 10 15 20 59 104 (2.4) 시각 중증 15 15 15 27 72 (1.6) 경증 21 82 122 194 419 (9.5) 시각외
감각중증 15 15 21 47 98 (2.2) 경증 15 36 54 146 251 (5.7) 정신적 중증 150 107 101 89 447 (10.2) 경증 - - - - - - 신체내부 중증 10 17 20 48 95 (2.2) 경증 10 17 30 57 114 (2.6) 총합계 321 829 1,219 2,031 4,400 (100.0) (구성비) (7.3) (18.8) (27.7) (46.2) (100.0) - 읍면동 및 장애인 표본추출
<지역별 1상 표본 읍면동 수>
(단위 : 개)
지역별 1상 표본 읍면동 수 지역 읍면동 수 지역 읍면동 수 전수층 표본층 전수층 표본층 서울 84 23 61 강원 22 2 20 부산 33 3 30 충북 18 0 18 대구 22 1 21 충남 24 0 24 인천 23 0 23 전북 25 1 24 광주 14 1 13 전남 27 1 26 대전 13 1 12 경북 34 0 34 울산 10 1 9 경남 36 1 35 세종 1 0 1 제주 7 2 5 경기 99 14 85 전국 492 51 441 <1상 표본 장애인의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별 분포>
(단위 : 명)
1상 표본 장애인의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별 분포 장애등급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계 장애유형 간 38 60 100 33 1,359 - 1,590 뇌전증 16 68 241 843 189 - 1,357 뇌병변 4,820 3,923 4,604 2,499 2,522 2,907 21,275 시각 3,213 597 1,057 1,194 2,011 18,761 26,833 신장 492 6,512 9 102 3,141 - 10,256 심장 20 77 396 6 102 - 601 안면 18 87 164 175 13 - 457 언어 24 242 732 1,145 - - 2,143 자폐성장애 1,135 760 479 - - - 2,374 장루.요루 2 6 87 556 303 - 954 정신 355 4,254 11,265 - - - 15,874 지적장애 5,562 9,046 11,540 - - - 26,148 지체(변형) 19 22 49 77 226 1,415 1,808 지체(상지관절) 40 170 1,066 2,119 1,434 4,813 9,642 지체(상지기능) 511 1,512 4,194 2,861 3,402 4,889 17,369 지체(상지절단) 105 829 2,329 2,741 2,507 5,907 14,418 지체(전환대상) 15 18 44 38 41 52 208 지체(척추) 212 1,045 1,638 1,601 15,813 18,585 38,894 지체(하지관절) 97 288 1,535 5,575 9,764 17,014 34,273 지체(하지기능) 4,198 4,246 7,507 6,192 5,193 1,096 28,432 지체(하지절단) 100 217 1,000 857 186 378 2,738 청각(전환대상) 2 8 3 4 4 3 24 청각(청력) 919 4,719 2,586 2,782 3,232 3,159 17,397 청각(평형기능) 0 5 12 21 29 5 72 호흡기 167 309 558 - 21 - 1,055 계 22,080 39,020 53,195 31,421 51,492 78,984 276,192 - 표본대체: 무응답 및 거절,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표본대체가 발생하게 되는데, 표본대체로 인한 비표본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각각의 원표본에 대응되는 대체표본을 5명씩 추가로 추출
- 가중치 산출 및 모수추정
<최종 가중치에 대한 기술통계량>
최종 가중치에 대한 기술통계량 통계량 관측값 수 4,577 가중합 4,577 평균 303.21 관측값 합 1,387,802 표준편차 381.15 분산 145,275.33 왜도 3.52 첨도 22.29 제곱합 1,085,578,339 수정제곱합 664,779,914 변동계수 125.70 평균의 표준오차 5.63 최빈값 42.86 범위 5,263 사분위 범위 299.50 최솟값 4.62 중위수 167.70 최댓값 5267.24
조사실시
- 패널 구축 및 조사 준비
- 표본 리스트 정비
- 패널 사전 접촉
- 접점 홍보 강화
- 조사도구 준비
- 시범조사 실시
- 조사원 선발 및 교육
- 패널 구축 및 본조사 실시
- 대상자 접근
- 패널 구축 및 본조사 실시, 관리
- 자료 검증
- 사전검증
- 재확인이 필요한 항목의 경우 조사 진행 중 수정,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 조사원의 펀칭오류 유형 등을 DB화, TAPI 전담 검증팀에 의해 주요 오류 유형은 별도의 검증대상으로 분류하여 조사내용 입력 상의 오류 최소화
- 사후검증
- 육안으로 에디팅 실시하여 TAPI 프로그램에서 확인되지 않는 응답의 일관성, 이상치 검토 실시
- 조사 후 조사원별 30%씩 무작위로 전화검증 실시하여 조사 전반에 대한 품질관리
- 전 문항 빈도분석을 통해 문항 분기 등에 따라 전체 응답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응답 범위를 벗어난 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
- 문항 간 관련성이 있는 문항과 경제활동 관련 변수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논리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지 검토
- 발견된 오류 중 패널에게 재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조사원 확인을 거쳐 전화로 재조사 실시
- 사전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