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연구개발사업
고용개발원 연구개발사업을 안내드립니다.
연구개발사업
고용개발원은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정책과 서비스의 선진화에 도움이 되는 쓰임 있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향합니다.
Knowledge Hub
- 정책개발
- 고용개발
- 조사통계
- 정책개발
- : 장애인 고용정책 선진화를 위한 정책평가 및 대안 제시
- 고용개발
- :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문화를 위한 실천방법 개발
- 조사통계
- : 합리적인 정책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데이터 생성 및 관리
정책개발
장애인 고용정책을 선진화하기 위하여 정책을 평가하고 대안을 제시합니다.
- 장애인 고용정책 및 공단사업 평가
- 국내외 장애인 고용정책 및 제도 연구
- 중장기 장애인 고용정책 개발
- 장애인 고용논리 개발 등
고용개발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문화를 위한 실천방법을 개발합니다.
- 장애인 고용지원 프로그램
- 사업주지원 프로그램
- 현장실무자가 활용 가능한 고용서비스 지원방법(직업영역, 평가도구, 직업정보 개발 등)
-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시범사업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등
조사통계
합리적인 정책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합니다.
- 장애인 고용 관련 기초통계 조사
- 장애인고용패널조사
- 사업체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 국내외 장애인 관련 통계수집 및 분석
학술교류
- 정책토론회 개최
- EDI는 장애인 고용정책 및 서비스 현안 이슈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 국내외 전문가들의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열린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학술지 발행
- 우수논문 발굴과 신진연구자 양성을 통해 장애인고용 학문저변을 확대하고 정책발전에 기여하고자 등재학술지 「장애와 고용」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 학술대회 개최
- 통계데이터의 활용을 촉진하고 학술교류 활성화를 위하여 매년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Dynamic R&D
- 고객과 함께하는 연구개발
- EDI는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부부처나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과제를 선정하고, 연구 수행 시에는 수요처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습니다. 일반인도 홈페이지를 통해 수시로 연구개발과제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 연구관리시스템
- EDI는 모든 연구개발과제에 대해 연구제안 검토, 연구계획서 심의, 중간보고 및 최종보고 개최, 검독을 의무화하여 기본과제보고서에 EDI의 모든 역량이 결집되도록 연구개발과제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결과물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철저한 평가를 거쳐 성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 EDI 포럼
- EDI 지식공유, 학습 및 토론의 장으로 최근 장애인 고용정책과 공단 사업의 주요 이슈, 국내외 사회 · 경제 · 정책동향 및 관련 연구 성과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됩니다. 2005년 말 이후 매주 개최하여 현재 200회가 넘게 이어지고 있으며, 주요 결과물들은 선별하여 수시과제 자료집으로 묶어 발간하고 있습니다.
정보자료실 운영
장애인 고용 분야 전문도서관으로 서적 및 영상자료, 논문 웹 서비스 제공(http://libinfo.kead.or.kr)
- 장애 및 사회과학 전반에 관한 국내외 도서
- 국내외 학술DB제공
- 국회도서관, 석 · 박사 학위 논문 제공
- 담당부서: 운영관리부
- 담당자: 김윤철
- 전화번호: 031-728-7043